먼저 이 글은 콜옵션 처음인 분들을 위해 저도 배우는 입장에서 쓰는 글이라는 점 알려드립니다.
흔히 옵션에 처음이신 분들이 옵션 전략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되는게 콜옵션 매수인 것 같아요.
만기일까지 손익분기점보다 주가가 높으면 이익이 난다는 개념이 직관적이기 때문에
어떤 종목의 주가가 오를 것이라고 강하게 믿는다면 콜옵션이나 매수해야겠다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런데 알고보면 콜옵션 매수는 여러 면에서 손실보기 정말 쉬운 전략입니다.
심지어 손익분기점보다 주가가 높아도 손실이 날 수 있습니다.
왜 그런지 궁금한 분들은 아래 내용을 읽어 주세요.
1. IV(Implied Volatility 내재변동성) 붕괴
IV는 옵션 가격에 반영된 시장 참여자들의 향후 변동성 예상 수준을 의미하죠. 이 IV가 크게 하락하면 옵션의 외재가치(시간가치)가 줄어듭니다. 옵션의 가격은 내재가치 플러스 외재가치이기 때문에 외재가치가 줄어들면 옵션의 가격도 하락하게 됩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예로 실적 발표를 들 수 있는데요. 실적 발표가 있기 전까지는 실적에 대한 기대감으로 IV가 오르다가 막상 실적 발표가 나오고 나면 불확실성이 감소하므로 IV가 하락하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실적 발표 전에 실적이 잘 나올 것을 기대하고 콜 옵션을 샀다가 실적이 잘 나와도 손실을 보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2. 시간가치 감소(세타 감소)로 인한 손실
옵션의 외재가치를 이루는 요소 중의 하나가 시간가치(Theta)입니다. 옵션이 만기일에 가까워질수록 시간가치가 줄어들어 옵션의 가치도 떨어지게 됩니다. 특히 만기일이 가까워질수록 시간가치(Theta)가 빠르게 감소합니다. 그 말은 콜옵션에서 이익을 보기 위해서는 주가가 그냥 상승하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고 빠르게 상승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3. 유동성 부족 및 호가 스프레드 문제
매수한 옵션이 유동성이 낮은 경우가 있습니다. 팔고 사는 사람이 적다는 말이죠. 그런 옵션들은 매도/매수 호가 스프레드가 큰 편인데 그러면 내가 갖고 있는 옵션을 싼 값에 팔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콜옵션을 행사할 의향이 없다면 누군가에게 팔아야 하는 건데 살 사람이 없으니 헐값에 팔게 되는거죠. 특히 옵션이 OTM(행사가격보다 낮은 주가)인 경우 내재가치가 없어서 매수자들이 관심을 갖지 않아 이런 일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최악의 경우, 아예 매수자가 없어서 옵션이 0원이 되는 상황도 발생합니다.
4. 델타 값이 낮음 (주가 상승 속도가 느림)
옵션에서 델타(Δ)는 옵션 가격이 기초자산(주식) 가격 변화에 따라 얼마나 움직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델타 값이 낮다는 것은, 주가가 움직여도 옵션 가격이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옵션이 깊은 외가격(OTM)인 상태에서는 델타 값이 낮아져 주가가 올라도 옵션 가격이 제대로 올라주지 않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간단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주가가 $95일 때 $100 콜옵션을 $5에 매수했다고 합시다. 이때 손익분기점은 $105 ($100 행사가격 + $5 프리미엄)가 되겠죠. 주가가 $106까지 상승하더라도 IV가 하락하고, 만기까지 2일만 남은 경우라면 옵션 가격이 $4.90으로 하락해서 매도하면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렇게 주가가 손익분기점을 넘더라도,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요인들 때문에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주가가 단순히 오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빨리 오르기까지 해야합니다. 게다가 내재변동성이 하락하면 손해보기 쉬운데 내재변동성은 해당 종목 자체의 상황 (예: 실적발표) 뿐만 아니라 여러 거시경제적 요인들(예: 금리정책, 경제 지표)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그래서 알고보면 콜옵션 매수 전략은 생각보다 훨씬 어렵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물론 이런 다양한 요인들을 잘 이해하고 매크로 상황까지 잘 받쳐 준다면 콜옵션 매수를 해서 수익이 나는 경우도 얼마든지 있습니다. 콜옵션 매수 전략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이런 여러 요인들을 먼저 고려한 다음 승부수를 던져야 할 것입니다.
2024.11.15 - [분류 전체보기] - 옵션 휠 전략 2단계: 커버드 콜(Covered Call) 매도하기
옵션 휠 전략 2단계: 커버드 콜(Covered Call) 매도하기
휠 전략을 사용하다가 매수 할당을 받았을 경우 다음 단계는 커버드 콜을 매도하는 것이다. 아래의 정보를 참고하되 자신의 성향에 맞게 조율하는 것을 추천한다. 매도 시점이전 단계(현
fogo.tistory.com
'파이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급락한 미국 증시에 대한 생각 (1) | 2025.03.29 |
---|---|
스트래티지(MSTR) 커버드콜 4개월 차 기록 (1) | 2025.03.28 |
SMCI 슈마컴 마음고생 투자 이야기 (3) | 2025.03.23 |
팔란티어 급락: 추가매수하고 옵션 거래 (2) | 2025.02.22 |
미국주식옵션 공부하기 리소스 (1) | 2025.02.15 |